티스토리 뷰
목차
다가오는 추석을 앞두고 KTX와 SRT 이용객들에게 중요한 제도 변화가 예고되었다. 기존에는 승차권 없이 열차를 이용할 경우 기본 운임의 1.5배만 지불하면 되었지만, 10월 1일부터는 벌금 규정이 강화된다. 이 소식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귀성길에 큰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새롭게 바뀌는 KTX 벌금 제도와 함께 추석 승차권 예매 시 주의할 점을 정리해본다.
KTX 벌금제도 주요 개편 내용
10월 1일부터는 승차권을 소지하지 않고 탑승한 승객은 기본 운임의 2배를 지불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동 시 기존에는 약 8만 9700원에 1.5배를 더해 13만 원 가까이 냈다면, 이제는 무려 11만 9600원을 지불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금전적 부담을 넘어 무임승차에 준하는 위반 행위로 간주된다.
특히 명절 기간에는 단속이 더욱 엄격하다. 추석 등 특별 수송 기간에는 승차권이 없을 경우 열차 탑승 자체가 불가능하며, 적발 시 즉시 열차에서 내려야 한다. 이는 실수요자의 좌석 이용 편의를 보장하고 암표 거래를 근절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다.
구간 연장 이용 시 부가 요금
승차권을 구간보다 짧게 구매한 후 더 멀리 가는 방식 역시 새 제도에서는 강력히 규제된다. 예를 들어 서울-대전 구간 승차권으로 부산까지 간다면, 대전-부산 구간에 대한 운임을 기존보다 훨씬 무겁게 부담해야 한다. 이전에는 약 5만 9800원만 추가로 냈다면, 개편 이후에는 9만 6100원을 내야 한다.
위약금 체계 강화
부가 운임뿐만 아니라 취소 수수료도 강화되었다. 열차 출발일 기준으로 2일 전까지는 400원, 1일 전은 운임의 5%, 출발 당일 3시간 전까지는 10%, 이후에는 20~30%까지 위약금이 부과된다. 따라서 추석처럼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에는 예약 변경이나 취소를 신중히 해야 한다.
불법 예매 및 매크로 단속
추석 기차표 예매에서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한 불법 예매와 암표 거래가 큰 문제로 떠오른다. 경찰청은 올해 역시 18일까지 집중 단속을 진행하며, 코레일과 SR로부터 매크로 사용 의심 사례를 넘겨받아 수사를 강화하고 있다. 매크로를 통한 대량 예매는 공정한 표 배분을 해치고, 결국 정가에 표를 구하지 못하는 국민에게 피해를 준다. 따라서 이용자 스스로도 암표를 구매하지 않는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이번 KTX 벌금제도 개편은 무임승차 근절과 승차권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조치라 할 수 있다. 특히 추석과 같은 명절에는 규제가 더 강화되므로, 반드시 사전에 승차권을 예매하고 탑승해야 한다. 또한 매크로 불법 예매와 재판매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는 만큼, 정당한 방법으로 승차권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석 귀성길을 준비 중이라면 이번 제도 변화를 꼭 숙지하길 바란다.